환경변수란?
- 시스템 자체에 설정한 전역변수
- 환경에 따라 프로그램의 동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값
- 지역(특정 사용자만 사용 가능) 환경변수 또는 전역(모든 사용자가 사용) 환경변수로 분류됨
Linux & Mac OS에서 환경변수 설정하기
- Windows와 달리 환경변수를 임시적으로도 저장할 수 있음
- 지역 환경변수 임시 저장 : 등호(=)를 사용하며, 등호 앞뒤에 공백이 없어야 함. 공백이 존재할 경우 따옴표로 감싸주어야 함
today=friday
- 전역 환경변수 임시 저장 : export 명령어 사용
export month=august
export name="go to guy"
- 환경변수 값 확인 : echo 명령어, 달러사인($) 사용
echo $today
echo $month
echo $name
- 지역 환경변수 영구 적용
1. 홈 디렉토리로 이동(cd ~)한 후, 홈 내에 숨겨진 폴더/파일을 포함한 모든 목록 확인(ls -al)
2. 목록에 .zshrc가 있으면 nano .zshrc, .bashrc가 있으면 nano .bashrc를 입력하여 편집창 실행
3. 파일의 맨 아래로 이동해 설정하고자 하는 환경변수 작성 후 저장
4. source .zshrc 또는 source .bashrc를 입력해 변경 내용 적용
- 전역 환경변수 영구 적용
1. sudo chmod 777 /etc/profile을 입력하여 환경변수를 저장할 파일(/etc/profle)의 권한 수정
2. nano /etc/profile을 입력하여 편집창 실행
3. 파일의 맨 아래로 이동해 설정하고자 하는 환경변수 작성 후 저장
4. source /etc/profile을 입력해 변경 내용 적용
- 환경변수 목록 확인 : export 키워드 사용
Windows에서 환경변수 설정하기
1. '환경 변수'를 검색하여 '시스템 환경 변수 편집' 실행
2. '시스템 속성' 창에서 '환경 변수' 클릭
3. 환경변수 확인 및 설정
- Windows에서는 영구적인 환경변수만 설정 가능
- User에 대한 사용자 변수는 지역 환경변수, 시스템 변수는 전역 환경변수를 말함
환경변수 추가하기
1. '환경 변수' 창에서 '새로 만들기' 클릭
2. 변수 이름과 값 입력 후, '환경 변수' 창까지 확인 클릭
3. cmd를 실행하고, set 명령어를 입력하여 환경변수 확인
'백엔드 개발자 공부 > Linux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사용 권한 (0) | 2022.08.26 |
---|---|
[Linux] Ubuntu 패키지 매니저 apt (0) | 2022.08.26 |
[Linux] CLI 기본 명령어 (0) | 2022.08.26 |